1,049 0 0 30 9 0 10년전 0

남염부주지

▣ 금오신화의 출전과 작품 전래 과정 학계나 문단을 통해 발견된 소설작품을 놓고 볼 때, 2014년 현재 우리 선조들이 남긴 최초의 소설집으로 자리매김 되고 있던 <금오신화(金鰲新話)>는 <최치원전>의 발견으로 최초냐, 두 번째냐로 논란 중인 이 소설집은 조선 초기 문인 매월당 김시습 선생이 지은 한문 단편소설집이다. 이 소설집에는 1)만복사저포기(萬福寺樗蒲記, 만복사 저포놀이) 2)이생규장전(李生窺牆傳, 이생이 담 넘어 아가씨를 엿보다) 3)취유부벽정기(醉遊浮碧亭記, 홍생이 부벽정에서 취하여 놀다) 4)남염부주지(南炎浮洲志, 남쪽 염부주 이야기) 5)용궁부연록(龍宮赴宴錄, 용궁 잔치에 초대받다) 등 5편의 한문 단편소설이 실려 있다. 매월당 김시습(金時習, 1435~1493) 선생의 소설 작품..
▣ 금오신화의 출전과 작품 전래 과정

학계나 문단을 통해 발견된 소설작품을 놓고 볼 때, 2014년 현재 우리 선조들이 남긴 최초의 소설집으로 자리매김 되고 있던 <금오신화(金鰲新話)>는 <최치원전>의 발견으로 최초냐, 두 번째냐로 논란 중인 이 소설집은 조선 초기 문인 매월당 김시습 선생이 지은 한문 단편소설집이다.
이 소설집에는 1)만복사저포기(萬福寺樗蒲記, 만복사 저포놀이) 2)이생규장전(李生窺牆傳, 이생이 담 넘어 아가씨를 엿보다) 3)취유부벽정기(醉遊浮碧亭記, 홍생이 부벽정에서 취하여 놀다) 4)남염부주지(南炎浮洲志, 남쪽 염부주 이야기) 5)용궁부연록(龍宮赴宴錄, 용궁 잔치에 초대받다) 등 5편의 한문 단편소설이 실려 있다.
매월당 김시습(金時習, 1435~1493) 선생의 소설 작품들은 창작 당대부터 희귀본이어서 옛 문헌에 이따금 단편적인 기록만 남아 있을 뿐 한말 이래 국역본이든 한문본이든 작품이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다 일본에서 전해오던 목판본 <금오신화>를 최남선(崔南善) 선생이 발견해 잡지 <계명(啓明)> 19호를 통해 1927년 국내에 소개했다. 이 목판본은 1884년(고종 21) 동경에서 간행된 것이며, 상·하 2책으로 구성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 중 상권은 32장으로 구성되었는데 <서(序)> · 〈매월당소전(梅月堂小傳)〉 · 〈만복사저포기〉·〈이생규장전〉 · 〈취유부벽정기〉 등이 실려 있고, 하권은 24장으로 구성되었는데 〈남염부주지〉 · 〈용궁부연록〉 · <발문> · <평(評)> 등이 실려 있다. 이 글 중 〈매월당소전〉과 <발문> 2편 가운데 1편은 1882년 일본 도쿄로 유학을 갔다가 기독교로 개종한 개화파 지식인 이수정(李樹廷) 선생이 쓴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하권 끝에는 이 작품집을 <갑집(甲集)>이라고 구분한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본래의 작품 수는 5편 이상이었을 것으로 학계는 추정하고 있다.
이 목판본 <금오신화>는 1653년(효종 4) 일본에서 초간(初刊)되었던 것을 재간(再刊)한 것이며, 초간의 대본은 오쓰카(大塚彦太郎) 가문에 오랫동안 전해 오던 자료로 알려지고 있다.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에 동경판 ≪금오신화≫가 소장되어 있으며, 편역자가 이번에 편역한 작품들은 국립중앙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1950년대에 발간된 한문본과 국내 대학의 연구자들이 텍스트로 활용한 작품들을 두루 대조해 보며 저본으로 삼았음을 밝혀둔다. ●


[ 남염부주지(南炎浮洲志) ]

▣ 작품 소개

남염부주지(南炎浮洲志)는 금오신화에 수록된 다섯 편의 단편소설 중 유일하게 남자 주인공만 등장하는 작품이다. 여주인공이 등장하지 않는 작품이므로 남녀의 애정 문제도 나타나지 않는다. 또 <취유부벽정기> 같은 작품은 작품의 태반이 운문(한시)으로 이야기가 이어지고 있으나 이 소설은 삽입한 한시 한 편 없이 작품 대부분이 주인공 박생(朴生)의 철학적 이론과 염마왕과의 문답식 담론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어 작품의 서정성보다 지적 긴장감이 감도는 작품이다.

소설 제목으로 일컬어지는 <남염부주지(南炎浮洲志)>라는 한자어 제목을 한글로 번역하면 <남쪽에 있는 지옥에 가다> 또는 <남쪽 염부주 이야기>로 풀이되는데, 이 소설에서 제목으로 사용되는 <염부주>라는 말은 염라국, 즉 불교의 우주관에서 볼 때 세계의 중앙에 있는 수미산을 둘러싸고 있는 사방의 바다 중 남쪽 바다를 염부주(炎浮洲)라고 말한다.

그러므로 이 소설은 “우주 세계의 남쪽에서 거세게 타오르는 불길이 항상 공중에 떠 있는 곳.”으로, 염라대왕이 있는 지옥을 말한다. 요사이 지구 곳곳에서 종교로 인한 전쟁이 수없이 발발해 하루에도 수십, 수백 명의 인명이 살상되고, 천당과 지옥이라는 말이 지구상 70억 인구의 마지막 종착지처럼 계시화되고 있는데, 지금으로부터 540여 년 전 작가 김시습은 무엇을 이야기하고 싶어서 이 소설의 주인공 박생(朴生)을 우주의 남쪽에 있는 지옥으로 보내 염라대왕과 담론을 벌이는 소설을 구상했을까?


▣ 작품 줄거리

줄거리는 성화 초년, 그러니까 지금으로부터 549년 전인 서기 1465년, 조선 세조 11년경, 신라 천년의 고도인 경주에 박생이라는 한 서생이 살고 있었는데, 이 소설은 그 서생의 용모와 성품, 그리고 평소의 생각과 세상을 바라보는 세계관으로부터 이야기가 시작된다.

주인공 박생(朴生)은 순박하고 온후한 성격의 소유자로 용모도 준수했다. 유학에 뜻을 두어 태학관에 적을 두고 있었지만 과거에는 합격하지 못한 낙방거사였다. 그렇지만 뜻이 높고 강직했으며, 평소 귀신 · 무당 · 불교 등의 이단에 빠지지 않기 위해 유교 경전을 읽기도 하고, 세상 이치는 하나뿐이라는 내용의 철학 논문인 <일리론(一理論>>을 쓰기도 하여 자신의 뜻을 더욱 확고하게 다져 나갔다.

그러던 어느 날 밤 등불을 돋우고 책을 읽다가 베개에 기대어 자신도 모르게 잠이 든다. 그러다 꿈결에, 명부(冥府)에서 내려온 사자(使者)에게 인도되어 염부주(炎浮洲)라는 별세계(別世界)에 이르게 된다. 그 별세계라는 곳은 철과 구리로 되어 있어서 낮에는 뜨겁고 밤에는 아주 추운 지옥이었다.

그는 그 철옹성을 지키는 문지기의 주선으로 염부주의 정전(正殿)으로 인도되어 왕을 만나게 되고, 그곳에서는 이른바 염라대왕이라고 불리는 염왕(閻王)과 사상적인 담론을 벌인다. 유교 · 불교 · 미신 · 우주 · 정치 등 다방면에 걸친 문답을 통해 염왕과의 의견일치에 이름으로써 자신이 가진 지식의 내용이 타당한 것임을 박생은 재확인한다.

한편, 염왕은 박생의 참된 지식을 칭찬하고 그 능력을 인정하여 왕위를 물려주겠다는 내용이 담긴 <선위문(禪位門)>을 내려주고는 인간 세상에 잠시 다녀오라고 한다. 박생을 그 길로 염마왕의 궁전을 나와서 수레를 타고 귀가한다. 도중에 수레를 끌던 사람이 발을 헛디뎌 넘어지는 바람에 그도 깜짝 놀라서 눈을 뜨고 보니 한마당 꿈이었다.

꿈에서 깨어나 정신을 차리고 보니 자신이 책을 보다 잠이 든 것 같았다. 주위에는 서책이 책상 위에 흩어져 있고 등잔불이 가물거리고 있었던 것이다. 박생은 머지않아 자신이 죽을 것을 알고 집안일과 자신의 신변을 정리한다. 혈육과 이웃의 권유가 있었지만 그는 일체의 의약과 무당의 굿까지 사절하다 조용히 세상을 하직한다. 이때 이웃 사람의 꿈에 한 선인(仙人)이 나타나서, 이웃에 살던 박생이 장차 염라대왕이 될 것이라고 전하고 사라진다는 내용으로 이야기는 끝난다.

▣ 작품 창작의도와 문학사적 의의

이 소설은 금오신화에 실려 있는 다른 네 편의 소설들과는 달리 작가 김시습의 철학사상이 집약적으로 형상화되어 있는 작품이다. 주인공 박생이 염마왕과의 대화를 통해 민본애민이나 왕도정치의 이념들을 주장하고 뒤에는 패도(覇道)를 경계하며, 이런 무리들에 대한 징벌의사를 천명하기도 한다. 그 상징적인 대상 인물은 당연히 수양대군이요, 세조다. 계유정란이 곧 패도였으니 말이다.

“나라를 다스리는 이가 폭력으로 백성을 위협해서는 안 될 것이오. 백성들이 두려워서 따르는 것같이 보이지만 마음속으로는 반역할 뜻을 품고 있어서 날이 가고 달이 가면 큰 재앙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오. 덕이 있는 사람은 힘으로 왕위에 올라서는 안 되오. 하늘이 비록 거듭 말해 주지는 않아도 행사(行事)로 보여 주니, 처음부터 끝까지 상제의 명령은 지엄한 것이오. 대체로 나라라는 것은 백성의 나라요, 명이라는 것은 하늘의 명이오. 그런데 천명이 떠나가고 민심이 떠나가면 임금이 비록 제 몸을 보전하고자 한들 어떻게 가능하겠소?”

“간신들이 벌떼처럼 일어나고 큰 변란이 계속 일어나는데도 윗사람들이 백성들을 협박하고 위협하면서도 잘한 일이라고 여기며 부질없는 명예만 구하려 한다면 어찌 나라가 평안할 수 있겠습니까?”

작품 속에 인용되는 이런 대화 내용 외에도 불교의 내세관이나 기복신앙적인 행위들을 신랄하게 비판하는 명언들이 이 소설에서는 많이 나온다.

“아아, 이런 지경에까지 이르렀구려. 사람이 태어날 때에 하늘은 성(性)을 명하여 주고, 땅은 생명으로 길러 주며, 임금은 법으로 다스리고, 스승은 도(道)를 가르치며, 어버이는 은혜로 길러 주는 것이오. 이로 말미암아 오륜에 차례가 있고, 삼강이 문란하지 않게 되오. 이를 잘 따르면 상서롭고, 이를 거스르면 재앙이 닥치니 상서와 재앙은 사람이 그것을 어떻게 받느냐에 달려 있을 따름이오.”

소설 <남염부주지>는 이런 작가 김시습의 철학 사상들이 고스라니 녹아나 있는 작품이다. 그런데 이 소설 말미에 보면 이런 박생의 철학에 감탄한 염라왕이 박생에게 왕위를 물려주겠다는 말을 하는데, 이후 박생이 병들어 죽어 염라의 왕이 되었음을 암시하는 글로써 이야기가 마무리된다.

그렇다면 작가 김시습은 왜 하필이면 박생이 염라국의 왕이 되는 것으로 이야기를 구성했을까? 아마도 이것은 현세에서는 못하더라도, 죽어 내세에서라도 염라왕이 되어 세조를 벌해 보리라는 작가 김시습의 평생 사위지 못한 분노의 표현이 아니었을까 하는 어느 선임연구자의 작품 분석론이 더욱 이 작품을 거듭 읽어보게 만드는 흥미로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
▣ 작가 소개

미수 허목(許穆) 선생이 쓴 청사열전(淸士列傳)에 “김시습(金時習)은 본디 창해(滄海:강릉) 사람이다. 태어난 지 8개월에 글을 읽을 줄 알았으며, 5세에 <대학(大學)>ㆍ<중용(中庸)>을 환히 읽어 어른도 그를 스승으로 삼았다. 집현전(集賢殿) 학사 최치운(崔致雲)이 그를 보고 ‘뛰어난 인재이다.’ 하면서 이름을 시습(時習), 자를 열경(悅卿)이라고 지어 주었다. 세종이 이 소문을 듣고 불러 보고자 하였으나 임금의 신분상 그럴 수 없어서 승정원을 시켜 불러다 보고 그의 집에 많은 하사품을 내리면서, ‘잘 키워라. 크게 쓰일 것이다.’ 하였다. 이리하여 사방에서는 그를 ‘오세동자(五歲童子)’라 부르고 이름을 부르지 않았다.”라고 한다.

이처럼 유년시절부터 문명을 떨치며 성장한 김시습은 1435년(세종 17) 한양 성균관 북쪽, 그러니까 현재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명륜동에서 아버지 김일성(日省)과 어머니 울진 선사장씨(仙槎張氏) 슬하에서 태어났다.

그의 선대는 신라 태종무열왕의 후손으로서 국왕으로 추대되었으나 즉위하지 못하고 명주(溟州·강릉) 군왕(郡王)으로 봉함 받았던 김주원(金周元)이었다. 할아버지 김겸간(謙侃)은 오위부장을 지낸 무반이었고, 아버지 김일성(日省)은 선대의 음서(蔭敍)로 충순위(忠順衛)를 지낸 사대부가의 후손이었으나 그가 태어날 무렵 가정환경은 그리 좋은 편은 아니었다.

그는 3살 때부터 외조부로부터 글자를 배우기 시작해 <정속(正俗)>, <유학자설(幼學字說)>, <소학(小學)>을 배운 후 5세 때 이미 시를 지을 줄 알아 그가 신동(神童)이라는 소문이 당시의 국왕인 세종에게까지 알려졌다는 내용이 어숙권(魚叔權)이 지은 <패관잡기(稗官雜記)>에 전해지고 있다.

이 외에도 그의 생애를 알려주는 자료로는 <매월당집>에 전하는 <상류양양진정서(上柳襄陽陳情書)>, <윤춘년(尹春年)의 전기(傳記)>, <율곡 이이(李珥)의 전기>, <음애 이자(李耔)의 서문(序文)>, <장릉지(莊陵誌)> · <해동명신록> · <연려실기술> 등이 있는데, 그는 5세 때(1439년) 이웃집에 살고 있던 예문관 수찬(修撰) 이계전(李季甸)으로부터 <중용>과 <대학>을 배웠고, 그 후 13세 때(1447년)까지 이웃집의 성균관 대사성 김반(金泮)에게서 <맹자> · <시경> · <서경>을 배웠고, 겸사성 윤상(尹祥)에게서는 <주역>과 <예기>를 배웠으며, 그 밖의 여러 역사책과 제자백가는 스스로 읽어서 공부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작가 김시습의 생애> 편을 참조하기 바람). ●


▣ 편역자 소개

서동익(徐東翼)
소설가. 서동익은 1948년 경북 안강(安康)에서 태어나 향리에서 성장기를 보내다 1968년 해군에 지원 입대해 7년간 현역으로 복무했다. 만기 전역 후, 6·25 한국전쟁 휴전협정 체결 후 남북 관계와 북한 동포들의 삶을 연구해 오다 1997년 국가정보대학원을 수료했다.

1976년 중편소설 <갱(坑)>으로 제11회 세대신인문학상을 수상하고 등단 후 남북 분단으로 인한 <한국현대소설문학의 반쪽현상>과 <왜소성>을 발견, 이를 극복하는 장편소설을 집필하다 북한 동포들의 일상적 라이프스타일과 생활용어 속의 정치용어, 경제용어, 은어 등에 막혀 실패했다. 이후 직장을 대북전문기관인 자유의 소리방송(전문집필위원), 통일부(학술용역), 국방일보(객원논설위원), 인천남동신보(주간 겸 논설위원), 사)북방문제연구소(연구이사 겸 부소장) 등에서 근무하며 30여 년간 북한을 연구해 왔다.

주요 북한연구저서로는 <북에서 사는 모습(북한연구소, 1987)>, <인민이 사는 모습 1, 2권(자료원, 1996)>, <남북한 맞춤법 통일을 위한 사회주의헌법 문장 연구(사단법인 북방문제연구소, 2007)>, <남북한 맞춤법 통일을 위한 조선로동당 규약 문장 연구(북방문제연구소, 2007)> 외 다수 논문이 있다.

문학창작집으로는 서동익 소설집 <갱(坑, 자료원, 1996)>, 장편소설집 <하늘 강냉이 1∼2권(자료원, 2000)>, <청해당의 아침(자료원, 2001)>, <퇴함 1∼2권(메세나, 2003)>, <장군의 여자 1∼2권(메세나, 2010)> 등이 있으며, 장편소설 <청해당의 아침>이 1960년대 한국의 문화원형과 전후세대의 삶을 밀도 있게 묘사한 작품으로 선정되어 2010년 6월 1일부터 한 달간 KBS 라디오 드라마극장에서 드라마로 제작되어 국내는 KBS AM 972khz로, 국외는 KBS 한민족방송망을 타고 중국 동북3성 ․ 러시아 연해주 ․ 사할린 ․ 일본 ․ 미국 등지로 방송된 바 있다.

고소설 편역작품집으로는 강도몽유록(OLIN, 2013), 달천몽유록, 원생몽유록, 안빙몽유록, 수성궁몽유록, 피생명몽록, 금오신화(OLIN, 2014) 등이 있다.

그동안의 창작활동으로 <제8회 인천문학상(1996)>, <남동구민상(1996)>, <인천광역시문화상(2004)>, <남동예술인상(2011)> 등을 수상했으며 <해군을 빛낸 인물>로 선정되기도 했다.

사회단체활동으로는 인천광역시남동구문화예술회 창립추진위원장, 초대회장(1991), 한국문협 인천광역시회 제33대 회장(2003), 한국예총 인천광역시연합회 부회장(2004), (사)북방문제연구소 부소장(2007) 등을 역임한 바 있으며 현재는 <(주)온라인인물뉴스(www.olinews.com)> 대표이사로 재직하고 있다.(편집자) ●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net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