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사신론
20세기 조선 최고의 천재 사학자(史學者)이자 사상가이고, 혁명가이고, 문학가인 단재(丹齋) 신채호(申采浩) 선생의 초기 저서 중 하나인 《독사신론(讀史新論)》을 현대인이 국어사전이나 옥편 없이 그대로 줄줄 읽을 수 있도록 <대한매일신보>에 50회에 걸쳐 발표되었던 《독사신론(讀史新論)》국한문 혼용 세로쓰기 원고를 현대어 국한문 가로쓰기 전자책(이펍 2.0) 판형으로 번역한 편역본(번역+가로쓰기 현대문 편집본)에다 초판본 《독사신론(讀史新論)》을 <책 속의 책> 형태로 삽입한 전자 도서이다. 그러므로 이 전자책 한 권으로 초판본 원본과 현대문 번역본을 대조해 가며 함께 읽을 수 있는 재미와 실리를 구현할 수 있다.
이 전자책 속에 <책 속의 책> 형태로 삽입된 초판본 《독사신론(讀史新論)》논문은 1910년 최남선(崔南善)이 경영했던 잡지 『소년』 8월호에 <국사사론>이라는 제목으로 전재되기도 했다.
이 책은 ① 단군 시대, ② 부여 왕조와 기자(箕子) · 부론(附論), ③ 부여족 대발달시대, ④ 동명성왕의 공덕, ⑤ 신라, ⑥ 신라 · 백제와 일본의 관계, ⑦ 선비족 · 지나족과 고구려, ⑧ 삼국흥망의 이철(異轍), ⑨ 김춘추(金春秋)의 공죄, ⑩ 발해의 존망 순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재가 이 논문을 통해 특히 강조하고 있는 것은, 먼저 “국가의 역사는 민족의 소장성쇠(消長盛衰)의 상태를 서술하는 것이며, 영토의 득실을 논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하여 국가주의 · 민족주의의 입장에서 역사를 보았던 점이다. 즉, 국사란 국가의 역사로서, 국가가 민족에 의해 성립된 유기체이므로 민족사가 곧 국사인 것으로 파악하였다. 따라서 국가의 주권을 행사한 주족(主族)에 대해 깊은 관심을 표명한 것이다.
반만년 간의 민족사는 부여족 소장 성쇠의 역사라 하여 부여족을 주족(主族)으로 인식하였다. 이것은 부여족이 살았던 만주를 우리나라 영토화하는 동시에, 현실적인 외세(일본)의 침략에 대한 자긍 의지를 뚜렷이 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에 단재는 단군시대부터 발해의 멸망에 이르기까지를 부여족의 활동과 다른 민족과의 교섭 과정으로서 인식하고자 하였다. 단군의 정통이 부여로, 그다음에는 고구려 · 백제 · 신라 · 가야로 계승되며, 종래에 중시되던 기자 · 위만 · 한사군은 부여족의 역사에 부속시켜 서술하였다.
따라서 정통론 사학에서 주장되던 기자조선에서 마한 또는 삼한으로 역대(歷代) 정통이 계승된 것으로 파악되던 고대사 인식 체계가 단재 신채호에 의해 뒤집어지게 되었다.
또한, 긍정적으로 평가되던 삼국 통일의 역사적 의의를 비판해 김유신(金庾信) · 김춘추 및 김부식(金富軾)의 공죄(功罪)를 논하였다. 이것은 한국의 고대사를 반도 중심으로 보았던 종래의 역사 인식 체계를 만주 중심과 단군 부여족 중심으로 본 필연적인 결과인 것이다.
단재의 이 논문에 의거해, 한국의 민족주의 사학이 식민지화된 뒤에 식민사관에 대처하기 위해 성립된 것이 아니라, 이미 애국계몽운동기에 계몽 운동의 일환으로서 싹텄음이 밝혀졌고, 민족주의 사학의 발생 상한선이 올라갈 수 있었다는 의의와 평가를 낳았다.
■ 저자 소개
저자: 단재(丹齋) 신채호(申采浩)
《독사신론(讀史新論)》의 저자 단재 신채호(申采浩, 1880년 12월 8일~1936년 2월 21일)는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민족주의 사학자이다. 본관은 고령, 호는 단재(丹齋) · 일편단생(一片丹生) · 단생(丹生) 등을 사용하였다.
1905년 25세의 나이로 성균관 박사가 된 후 <황성신문> 논설위원, <대한매일신보> 주필 등으로 언론활동을 하면서 역사 관련 저서로 《조선상고사》·《조선사연구초》·《조선상고문화사》·《독사신론》·《조선사론》 등을 남겼다. 또 자라나는 청소년들의 민족의식과 독립사상을 고취하기 위해, 《을지문덕전》·《최도통전(최영장군전)》·《이순신전》·《꿈하늘》·《이태리 건국 삼걸전》같은 문학류 작품을 발표하기도 하였다.
1910년 30세 때 도산 안창호 · 이갑 · 이종호 등과 중국 칭다오로 망명,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참여하였으나 백범 김구와 공산주의에 대한 견해 차이로 임정을 탈퇴, 국민대표자회의 소집과 무정부주의 단체에 가담하여 활동했으며, 북경에서 사서 연구에 몰두하기도 했다.
1928년 48세 때 무정부주의 동방연맹 국제위폐사건에 연루되어 타이완의 기륭항에서 미리 대기하고 있던 일경에 의해 체포되어 여순감옥에 투옥된 후, 1930년 50세 때 중국 대련 법정에서 유가증권위조 및 동행사, 치안유지법위반 혐의로 10년 형을 선고받고 여순(旅順) 감옥으로 이감되어 복역 중 56세 때인 1936년 2월 21일 오후 4시 20분 여순 감옥에서 영양실조와 뇌일혈로 옥중 순국했다.
그 후, 충북 청원군 낭성면 역래리 상당산 기슭에 안장된 단재의 일생과 관련된 상세 연보는 본서 <단재 신채호의 일생과 연보>란을 참조하기 바란다. / 편역자.
---------------------------------------------------------------------------------------------------------------------------------
■ 편역자 소개
편역자: 서동익(徐東翼)
소설가. 북한전문가.
편역자 서동익은 1948년 경북 안강(安康)에서 태어나 향리에서 성장기를 보내다 1968년 해군에 지원 입대하여 7년간 현역으로 복무했다. 만기 전역 후, 6.25 한국전쟁 휴전협정 체결 후 남북 관계와 북한 동포들의 삶을 연구해오다 1997년 국가정보대학원을 수료했다.
1976년 중편소설 <갱(坑)>으로 제11회 세대신인문학상을 수상하고 등단 후 남북 분단으로 인한 <한국현대소설문학의 반쪽현상>과 <왜소성>을 발견, 이를 극복하는 장편소설을 집필하다 북한 동포들의 일상적 라이프스타일과 생활용어 속의 정치용어, 경제용어, 은어 등에 막혀 실패했다. 이후 직장을 대북전문기관인 자유의 소리방송(전문집필위원), 통일부(학술용역), 국방일보(객원논설위원), 인천남동신보(주간 겸 논설위원), 사)북방문제연구소(연구이사 겸 부소장) 등에서 근무하며 30여 년간 북한을 연구해 왔다.
주요 북한연구저서로는 <북에서 사는 모습(북한연구소, 1987)>, <인민이 사는 모습 1, 2권(자료원, 1996)>, <남북한 맞춤법 통일을 위한 사회주의헌법 문장 연구(사단법인 북방문제연구소, 2007)>, <남북한 맞춤법 통일을 위한 조선로동당 규약 문장 연구(북방문제연구소, 2007)> 외 다수 논문이 있다.
문학창작집으로는 서동익 소설집 <갱(坑, 자료원, 1996)>, 장편소설집 <하늘 강냉이 1∼2권(자료원, 2000)>, <청해당의 아침(자료원, 2001)>, <퇴함 1∼2권(메세나, 2003)>, <장군의 여자 1∼2권(메세나, 2010)> 등이 있으며, 장편소설 <청해당의 아침>이 1960년대 한국의 문화원형과 전후세대의 삶을 밀도 있게 묘사한 작품으로 선정되어 2010년 6월 1일부터 한 달간 KBS 라디오 드라마극장에서 드라마로 제작되어 국내는 KBS AM 972khz로, 국외는 KBS 한민족방송망을 타고 중국 동북3성 ․ 러시아 연해주 ․ 사할린 ․ 일본 ․ 미국 등지로 방송된 바 있다.
고소설 편역(번역) 작품집으로는 강도몽유록(OLIN, 2013), 달천몽유록(2013), 원생몽유록(2013), 안빙몽유록(2013), 수성궁몽유록(2013), 피생명몽록(2014), 김시습 금오신화_용궁부연록(2015), 남염부주지(2015), 취유부벽정기(2015), 이생규장전(2015), 외 인현왕후전(2015), 계축일기(2015), 최치원전(2015), 조선상고사 제1권, 조선상고사 제2권(2021년), 조선상고문화사(2021년), 조선사연구초(2021년), 독사신론(2021년), 조선사론(2021년) 등이 있다.
그동안의 창작활동으로 <제8회 인천문학상(1996)>, <남동구민상(1996)>, <인천광역시문화상(2004)>, <남동예술인상(2011)> 등을 수상했다. / (편집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