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 0 0 5 3 0 2년전 0

혈의 누

이인직 신소설

이인직 신소설 《혈의 누(血淚)》는 한국 문학사상 최초의 신소설로 평가되는 이 작품이다. 이인직의 첫 장편소설이기도 한 이 소설은 청일전쟁을 배경으로 하면서 10년 동안이란 시간의 경과 속에서 한국 · 일본 · 미국을 무대로, 여주인공 ‘옥련’의 기구한 운명에 얽힌 개화기의 시대상을 그리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시대 현실의 반영을 통해서 자주독립 · 신교육 · 신결혼관 등의 주제 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우리나라 최초의 신소설로 자리매김한 《혈의 누》는 형식과 내용 면에서 고대소설의 구각에서 탈피하여 근대소설로서 문학사적인 새로운 계기를 보인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신소설의 문학사적 특징은 일반적으로 문체가 묘사적이란 점이다. 고대소설이 설화체에 그치는 점과 대조를 이룬다. 또 소재 채택과 사건..
이인직 신소설 《혈의 누(血淚)》는 한국 문학사상 최초의 신소설로 평가되는 이 작품이다. 이인직의 첫 장편소설이기도 한 이 소설은 청일전쟁을 배경으로 하면서 10년 동안이란 시간의 경과 속에서 한국 · 일본 · 미국을 무대로, 여주인공 ‘옥련’의 기구한 운명에 얽힌 개화기의 시대상을 그리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시대 현실의 반영을 통해서 자주독립 · 신교육 · 신결혼관 등의 주제 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우리나라 최초의 신소설로 자리매김한 《혈의 누》는 형식과 내용 면에서 고대소설의 구각에서 탈피하여 근대소설로서 문학사적인 새로운 계기를 보인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신소설의 문학사적 특징은 일반적으로 문체가 묘사적이란 점이다. 고대소설이 설화체에 그치는 점과 대조를 이룬다. 또 소재 채택과 사건 전개에 있어서 본질적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이에 비해 고대소설은 예외 없이 소재를 비현실적인 데에서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신소설에서는 그 소재들이 대체로 우리 주변에서 일상 일어나는 것들이다. 그 사건 또한 현실적으로 가능한 차원에서 이루어졌다. 이는 신소설이 고대소설보다는 근대소설 쪽에 한 걸음 더 다가섰음을 뜻한다.

등장인물들이 가지고 있는 당시의 신분제에 대한 새로운 생각, 일부종사에 대한 문제점, 시대적 배경으로 등장하는 신문물과 사회적 변동 등도 새로운 신소설적 모습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다.

학창 시절 국어 시간에 암기하듯 달달 외운 기억이 있는 신소설의 연대기적 개념은 1894년 갑오경장 이후 일본에 예속되어 가던 약 15년간의 조선 사회의 황폐한 구조와 당대인의 삶의 양상을 잘 담아낸 서사 양식으로 이인직을 비롯해 이해조, 최찬식, 안국선, 장지연 등 1918년 이광수의 《무정》이 나오기 전까지 창작되거나 발표된 소설들을 한국문학사에서는 ‘신소설’로 분류하고 있다.

이 신소설 작품들은 개화기 수백 년간 지속되어 온 봉건 질서의 해체와 새로운 식민자본주의의 형성기를 배경으로 한 우리나라 개항시대의 시대적 이념을 형상화하는데 가장 야심적이고 대표적인 서사 양식이었다. 그러므로 신소설은 이때 가장 광범위한 독자층을 형성하였다.

그중에서도 최초의 신소설인 이인직의 《혈의 누》를 비롯해 이해조 최찬식 등에 의해 왕성하게 창작되었으며, ‘문명개화’, ‘풍속 개량’ 같은 근대화의 이념이 이들 소설의 일반적인 주제가 되었다. 봉건 질서에 대한 부정과 비판, 새 문명에 대한 예찬이 대대적으로 그리고 공공연하게 행해졌던 당시의 이상과 환상이 당시 창작된 신소설에 그대로 나타나 있다. 그러므로 한국 문학사를 공부하거나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신문학을 연 작가들의 문학작품을 한 번 정도는 꼭 필독해야 할 작품으로 당위성(當爲性)의 의미를 갖기도 한다.

이인직의 첫 번째 장편소설 《혈의 누》는 1906년 7월부터 10월까지 당시의 일간 신문이었던 『만세보』에 연재된 이 작품으로 1907년 3월에 광학서포(廣學書舖)에서 초판이 간행되었다. 하편에 해당되는 《모란봉》은 1913년 2월 5일부터 6월 3일까지 『매일신보』에 총 65회 연재되었다.

본서는 『만세보』에 연재되었던 이인직의 《혈의 누》를 일반 독자들이 국어사전이나 옥편 없이 그대로 줄줄 읽을 수 있도록 고어체 원고를 현대어 가로쓰기 전자책(이펍 2.0) 판형으로 번역한 편역본(번역+가로쓰기 현대문 편집본)에다 최초 발표된 이인직의 《귀의 성》초판본을 <책 속의 책> 형태로 삽입한 전자 도서이다. 그러므로 이 전자책 한 권으로 초판본 원본과 현대문 번역본을 대조해 가며 함께 읽을 수 있는 재미와 실리를 구현할 수 있다.
■ 저자 이인직(李人稙)

이인직은 1862년 경기도 음죽현 동면 거물리(현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 노탑2리 거머리마을)에서 몰락한 양반가 서자(庶子)로 출생했다. 자(字)는 성문(聖文), 호(號)는 국초(菊初).
향리에서 유년기를 거친 뒤 일찍부터 한학을 배우다가 그의 나이 34세 때인 1896년 조중응과 함께 일본으로 건너갔다. 조중응(趙重應)은 대한제국 시기 외무아문 참의, 법부 형사국장 등을 지낸 인물로 1896년 아관파천 뒤 국사범(國事犯)으로 몰려 일본으로 망명했는데, 이인직은 망명한 국사범을 따라 일본으로 건너간 것이다. 일본에서 3년 넘게 체류하다 귀국한 이인직은 1900년 구한국 정부의 관비 유학생으로 선발되어 정식으로 3년간 도쿄정치학교에서 수학했다.
42세 때인 1904년 2월 8일 러일전쟁이 발발하자 전쟁을 수행하는 일본 육군성 제1군사령부 소속 판임 대우 조선어통역관으로 임명되어 러일전쟁에 종군했다. 1906년 일진회 기관지 <국민신보> 주필이 되어 처녀작 <백로주강상촌>을 연재한 후 <만세보> 주필로 자리를 옮겨 <혈의 누>와 <귀의 성>을 발표했다.
이인직은 이해조 · 최찬식과 같이 대한제국 시기 신소설 3대 작가의 한 사람으로 사실적 산문 문장을 최초로 구사하는 한편 산문성이 강한 언문일치에 가까운 문장으로 신소설을 개척하는데 열정을 보여주었다. 신소설은 이때 가장 광범위한 독자층을 형성하였다. 이인직의 <혈의 누>를 전후해서 한일합방에 이르기까지 왕성하게 창작되었는데, ‘문명개화’, ‘풍속개량’ 등 근대화의 이념이 이들의 일반적인 주제가 되었다. 봉건질서에 대한 부정과 비판, 새 문명에 대한 예찬이 대대적으로, 그리고 공공연하게 행해졌던 당시의 이상과 환상이 신소설에 그대로 나타나 있다.
신소설은 갑오경장 이후 일본에 예속되어 가는 약 15년간의 조선 사회의 황폐한 구조와 당대인의 삶의 양상을 잘 담아내고 있다. 그러므로 이인직을 비롯해 이해조 · 최찬식 · 최남선 · 이광수 등 우리나라 신문학을 연 작가들의 문학작품을 한 번 정도는 필독해야 할 작품으로 당위성(當爲性) 의미를 갖기도 한다.
이인직의 출생과 더불어 향년 54세로 일생을 마감할 때까지의 인생 여정은 본서 후미의 <이인직의 생애와 연보>를 참조하기 바란다. (편집자)
----------------------------------------------------------------------------------------------------------------------------------------------
■ 편역자 서동익(徐東翼)

소설가.
편역자 서동익은 1948년 경북 안강(安康)에서 태어나 향리에서 성장기를 보내다 1968년 해군에 지원 입대하여 7년간 현역으로 복무했다. 만기 전역 후, 6.25 한국전쟁 휴전협정 체결 후 남북 관계와 북한 동포들의 삶을 연구해오다 1997년 국가정보대학원을 수료했다.

1976년 중편소설 <갱(坑)>으로 제11회 세대신인문학상을 수상하고 등단 후 남북 분단으로 인한 <한국현대소설문학의 반쪽현상>과 <왜소성>을 발견, 이를 극복하는 장편소설을 집필하다 북한 동포들의 일상적 라이프스타일과 생활용어 속의 정치용어, 경제용어, 은어 등에 막혀 실패했다. 이후 직장을 대북전문기관인 자유의 소리방송(전문집필위원), 통일부(학술용역), 국방일보(객원논설위원), 인천남동신보(주간 겸 논설위원), 사)북방문제연구소(연구이사 겸 부소장) 등에서 근무하며 30여 년간 북한을 연구해 왔다.

주요 북한연구저서로는 <북에서 사는 모습(북한연구소, 1987)>, <인민이 사는 모습 1, 2권(자료원, 1996)>, <남북한 맞춤법 통일을 위한 사회주의헌법 문장 연구(사단법인 북방문제연구소, 2007)>, <남북한 맞춤법 통일을 위한 조선로동당 규약 문장 연구(북방문제연구소, 2007)> 외 다수 논문이 있다.

문학창작집으로는 서동익 소설집 <갱(坑, 자료원, 1996)>, 장편소설집 <하늘 강냉이 1∼2권(자료원, 2000)>, <청해당의 아침(자료원, 2001)>, <퇴함 1∼2권(메세나, 2003)>, <장군의 여자 1∼2권(메세나, 2010)> 등이 있으며, 장편소설 <청해당의 아침>이 1960년대 한국의 문화원형과 전후세대의 삶을 밀도 있게 묘사한 작품으로 선정되어 2010년 6월 1일부터 한 달간 KBS 라디오 드라마극장에서 드라마로 제작되어 국내는 KBS AM 972khz로, 국외는 KBS 한민족방송망을 타고 중국 동북3성 ․ 러시아 연해주 ․ 사할린 ․ 일본 ․ 미국 등지로 방송된 바 있다.

고소설 편역(번역) 작품집으로는 강도몽유록(OLIN, 2013), 달천몽유록(2013), 원생몽유록(2013), 안빙몽유록(2013), 수성궁몽유록(2013), 피생명몽록(2014), 김시습 금오신화_용궁부연록(2015), 남염부주지(2015), 취유부벽정기(2015), 이생규장전(2015), 외 인현왕후전(2015), 계축일기(2015), 최치원전(2015), 조선상고사 제1권, 조선상고사 제2권(2021년) 등이 있다.

그동안의 창작활동으로 <제8회 인천문학상(1996)>, <남동구민상(1996)>, <인천광역시문화상(2004)>, <남동예술인상(2011)> 등을 수상했다. / (편집자)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net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