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 0 0 0 1 0 3개월전 0

북한문화, 닮은 듯 낯선 모습

북한이란 존재는 우리에게 어떤 대상인가? 남북한은 지금 ‘통일을 지향하는 과정에서 잠정적으로 형성되는 특수관계’다. 이 특수관계가 80년 가까운 격절을 겪다 보니 계란, 달걀을 ‘닭알’이라 한다던가, 김 100장 한 톳을 40장이 한 톳이라 하는 것이야 그렇다 치고 백두산을 “김일성의 산인 동시에 김정일의 백두산”이라 주장하는 사람들까지 보게 된다. “이처럼 같거나 닮은 것보다 다른 것이 더 많은 모습을 보노라면 북한 동포가 함께 살아야 할 대상은 맞나 싶기도 하다.”라고 토로하며 1970년대 초 남북대화가 시작되자 대화요원으로 선발되어 공직자 길로 들어섰고 반세기 넘게 북한을 지켜보면서 제반 정책연구와 통일교육에 종사해온 임채욱 선생의 《북한문화론》 분야 연구 신서이다. 저자는 본서를 통해..
북한이란 존재는 우리에게 어떤 대상인가?
남북한은 지금 ‘통일을 지향하는 과정에서 잠정적으로 형성되는 특수관계’다. 이 특수관계가 80년 가까운 격절을 겪다 보니 계란, 달걀을 ‘닭알’이라 한다던가, 김 100장 한 톳을 40장이 한 톳이라 하는 것이야 그렇다 치고 백두산을 “김일성의 산인 동시에 김정일의 백두산”이라 주장하는 사람들까지 보게 된다.

“이처럼 같거나 닮은 것보다 다른 것이 더 많은 모습을 보노라면 북한 동포가 함께 살아야 할 대상은 맞나 싶기도 하다.”라고 토로하며 1970년대 초 남북대화가 시작되자 대화요원으로 선발되어 공직자 길로 들어섰고 반세기 넘게 북한을 지켜보면서 제반 정책연구와 통일교육에 종사해온 임채욱 선생의 《북한문화론》 분야 연구 신서이다.

저자는 본서를 통해 “하나의 춤 가락에 천만이 가락을 맞추고 하나의 선율에 천만이 선율을 맞추는 통일단결을 요구하는 곳, 당이 생각하는 대로 생각하며 행동하는 대로 행동하는 것이 요구되는 곳, 수령의 문풍을 닮아서 말하고 글 쓰는 것까지 수령을 닮기를 요구하는 곳, 이곳이 바로 북한이란 곳이다.”라고 축약하며, 북한은 주체와 민족을 두 줄기로 해서 버티고 있는데 주체는 내용이고 민족은 형식으로 되고 있다고 분석한다.

누가 지적했듯이 주체사상은 이데올로기가 아니라 종교신념처럼 내면화돼버린 곳, 이런 곳이 바로 북한이고 북한 주민들이기도 한데 우리는 이런 사람들을 같은 동포로 여겨야 하는가? 그쪽에서는 ‘우리는 하나’라고 줄기차게 외치고 있으나 일상의 삶에서 보면 같거나 닮은 것보다 다른 것이 더 많은 모습을 보노라면 “함께 살아야 하는 당위성은 있는가를 떠올리게 된다.”라고 솔직한 저자의 심정도 행간에서 보게 된다.
■ 저자 : 임채욱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회학과와 동 신문대학원에서 수학했다. 방송프로듀서로 일하던 1970년대 초 남북대화가 시작되자 대화요원으로 선발되어 공직자 길로 들어섰고 제반 정책연구와 통일교육에 종사했다.

《서울문화 평양문화》(1989. 12.), 《북한의 상징》(1995. 11.), 《통일문화와 북한문화의 가치성》(1998. 1.), 《서울문화 평양문화 통일문화》(2001. 9.), 《북한 상징문화의 세계》(2002. 9.), 《북한문화의 이해》(2004. 5.)를 짓고 공저 4권이 있다. 한국문화에 대한 가장 권위 있는 지식정보를 담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편찬에 참여했으며 남북한의 상징문화를 연구하는 한국상징문화연구회를 이끌었다.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net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